생활/생활의지혜

증권투자

풍경소리^^ 2009. 8. 24. 07:36

ADX 올라가면 추세구간


1.매수 관심
+DI > -DI
빨간색 파랑색
매수할려는 힘이 매도할려는 힘 돌파시

2.매수
ADX 상승전환시

3.매도 관심
-DI > +DI
파랑색 빨간색
매도할려는 힘이 매수할려는 힘 돌파시

4.매도
ADX 상승전환시

 

DMI(Directional Movement Index) +DI, -DI, DX

  시장은 추세적 시장(Trend market)과 비추세적 시장(Non-trend market)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추세적 시장이란 시장이 강세 또는 약세라는 추세를 가지고 있는 시장으로 포지션을 다음날로 이월시키는 Position Trading에 의해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비추세적 시장이란 장중에 일정한 박스권내에서 매매하는 Day Trading에 적합한 상황을 말합니다. 따라서 현재의 시장이 추세적 시장인지 비추세적 시장인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DMI차트는 현재의 시장추세와 함께 그 추세의 강도까지 알려 주는 지표로 단기보다는 중장기 추세 판별에 적합합니다.
+DI는 실질적으로 상승하는 폭의 비율을 나타내며, -DI는 실질적으로 하락하는 폭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해석
 
+DI가 -DI보다 큰 국면은 상승추세, 작은 국면은 하락추세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I가 -DI를 상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매수, 하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매도포지션을 취합니다.
+DI와 -DI의 교차를 매매신호로 이용할 때는 ADX를 같이 사용해야 합니다. 즉 +DI와 -DI가 교차하는 시점에서 ADX가 20선 아래에서 진행되다가 다시 그 값이 커지거나 20선을 상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DI와 -DI중 값이 큰 지표방향으로 매매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즉 ADX값이 상승하는 것은 현재 +DI와 -DI중 위에 있는 지표의 방향대로 추세가 진행되며, 그 강도가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계산식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ADX는 Divergence를 기초로 한 지표를 활용하여 매매에 사용하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해석
 
주가가 신고가를 형성하고 있는데 ADX지표가 신고가를 형성하지 못하면, 주가의 상승 여력이 약화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매도신호)
주가가 신저가를 형성하고 있는데 ADX지표가 신저가를 형성하지 못하면, 주가의 상승 여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매수신호)
계산식
 

'생활 > 생활의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헤미안 (Bohemian)  (0) 2009.08.26
시크한, 시크하다  (0) 2009.08.26
대한민국 경찰  (0) 2009.08.07
두 얼굴의 콜레스테롤-경제매거진M  (0) 2009.07.24
희망특강 파랑새  (0) 2009.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