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업무관련
연차수당
풍경소리^^
2011. 10. 12. 19:08
○ 주40시간 근무제일 경우 연차수당 산정 공식
연차유급휴가근로수당 = 통상임금 * 연차유급휴가일수
연차유급휴가일수 = 15일 + {[(연차휴가발생년도-입사년도)-1일] / 2 }
※ 소수점 이하는 삭제
예1: 2001년 입사한 경우 2006년도의 연차유급휴가일수
= 15일 + {[(2006년 - 2001년)-1일] / 2 }
= 15일 + {[(5년)-1일] / 2 }
= 15일 + 2일
= 17일
예2: 2001년 입사한 경우 2007년도의 연차유급휴가일수
= 15일 + {[(2007년 - 2001년)-1일] / 2 }
= 15일 + {[(6년)-1일] / 2 }
= 15일 + 2.5일
= 15일 + 2일 ※ 소수점 이하는 삭제
= 17일
주 40시간 시행시 주당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이며 유급처리되는 시간이 없는 경우 임금*8/209*15=연차수당 209시간이 어떻게 계산되는 것인지 알고 싶어요 ((40+8)*52+8)/12=209시간 숫자8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싶어요 |
40시간 : 하루 8시간 * 5일
+8시간 : 일요일은 유급이므로 8시간을 더해줍니다.(토요일은 무급)
52주 : 1년은 52주입니다.
+8 : 7일/주*52주=364일입니다. 1년은 365일이죠, 그래서 하루치 8시간을 더해줍니다.
/12 :1년은 12개월이죠
계산하면 208.66시간 반올림해서 통상 209시간 계산합니다.